Home 건강 [미국 경제뉴스] 향후 10년 가장 수요 많은 고연봉 직업은?

[미국 경제뉴스] 향후 10년 가장 수요 많은 고연봉 직업은?

0
[미국 경제뉴스] 향후 10년 가장 수요 많은 고연봉 직업은?
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의료 보건 전문가의 수요가 더 증가한다. ©Credit Karma

▶ 연방 노동통계국 발표
향후 10년 수요 많은 고연봉 직업

전문 간호사, 데이터과학자, 정보보안 분석가 등 유망
앞으로 10년간 높은 수요로 고액 연봉을 받을 수 있는 유망 직업은 의료, 정보, 컴퓨터 관련 업종인 것으로 나타났다.

최근 연방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연봉 10만불 이상 일자리 전망 자료에 따르면 수요가 가장 많은 직업은 전문 간호사(Nurse practitioner)로 수요가 45%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. 연봉(중간 금액)은 12만 1,610불이다. 다음은 데이터 과학자로 예상 수요 증가율은 35%, 연봉은 10만 3,500불이다. 정보보안 분석가는 32% 증가에 연봉 중간값 11만 2,000불로 세 번째 유망 직업군으로 꼽혔다. 의료 및 보건 서비스 관리, 의사보조(Physician’s Assistant), 소프트웨어 개발, 보험계리, 컴퓨터 및 정보 연구 과학자 등이 그 뒤를 이었다.
연봉 10만불 미만의 일자리로는 풍력발전 기술자(45%), 통계학자(32%), 전염병 전문 의학자(27%), 물리치료 보조원(26%) 등의 순으로 수요가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.

앞으로 10년간 미국의 인구 증가율은 연 평균 0.3%에 그쳐, 지난 10년간의 1.2%에 비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. 그리고 10년 뒤에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현재보다 1,440만명이 더 늘어나고, 이 가운데 대부분이 7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. 이처럼 미국이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의료와 보건 서비스 관리자, 의사 보조원 등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.

▶ 美 대학 랭킹 기준 변경, 기부실적 등 평가 제외로 일부 상위권 대학 순위 하락
‘U.S. News & World Report’의 연례 미국 대학 평가에서 공립대들이 약진한 것으로 나타났다. 미국 대학 평가 순위에서 10여개 공립대의 순위가 최소 50계단 이상 상승했기 때문이다. 이 같은 변화는 지난 40년간 미국 대학 순위를 평가해온 U.S. News & World Report가 그동안 여론의 비판을 받아온 평가방식을 대폭 바꾼 데 따른 것이다.
앞서 예일대 로스쿨 등 일부 학교는 U.S. News & World Report가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장학금 비율이 높거나, 월급이 적은 공공분야에서 봉사하는 졸업생이 많은 로스쿨은 평가에서 감점을 받는 등 부당한 기준을 평가에 반영하고 있다면서 평가 거부를 선언했다. 이에 따라 U.S. News & World Report는 장학금을 받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졸업률의 비중을 강화하는 등 비판을 잠재우기 위해 고심했다. 또한 졸업 동문의 기부 실적과 교수-학생 비율, 신입생의 고등학교 성적 등 일부 상위권 대학에 유리한 평가 기준도 이번 순위 산정에서 제외되었다.
하지만 이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최상위권 대학의 순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. 프린스턴대가 올해도 1위 자리를 지켰고, 매사추세츠공대(MIT)가 2위로 지난해와 동일했다. 그리고 하버드와 스탠퍼드대도 공동 3위를 유지했고, 예일대가 5위에 올랐다. 반면 시카고대는 6위에서 12위로, 다트머스대는 12위에서 18위
로 하락했다.

▶ 직장인 33% 주 4일 근무제 찬성
미국 직장인의 33%는 주 4일 근무를 할 수 있다면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를 그만둘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. 또한 근로자의 61%가 주 5일 근무 대신 주 4일 근무를 원한다고 말했다.
이에 더해 전 세계 44개국의 MZ세대 총 2만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심층 인터뷰 결과, 직장 내 워라밸(일과 삶의 균형) 보장에 대한 기대 수준이 세대 구분 없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 이들은 직장 선택시 최우선 고려 항목으로 워라밸, 자기계발 및 학습, 급여 순으로 응답했다. 그리고 소속 회사에 대해 주 4일 집중근무제 도입, 파트타임 근무 허용, 직무공유(잡 셰어링), 유연 근무시간제 등의 도입을 희망했으며, 이와 더불어 휴가 사용 장려 문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.
하지만 주 4일 근무제에 따른 근로시간 단축이 소득 감소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비현실적이라는 반응이 응답자의 2/3에 달했다. 또한 근로시간이 줄어도 업무량은 줄지 않아 오히려 업무부담이 커질 수 있음을 우려했다.